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73

땅위의 고기라 불리는 버섯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기 식용버섯 종류 1. 표고버섯 표고버섯은 특유의 향이 강하며 감칠맛이 있어 요리의 풍미를 살려줘서 천연 조미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보통 표고버섯을 말려서 재료로 사용되는데 그 이유는 표고버섯을 말리는 과정에서 아미노산이 생성되며 또한 저장기간이 짧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표고버섯은 콜레스테롤과 혈압 수치를 낮추며 특히 레티닌 성분을 다양 함유되어 있어 면역력을 높여준다고 합니다. 2. 느타리버섯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생산되는 버섯으로 굴처럼 생겨 굴버섯이라 불리기도 합니다. 느타리버섯은 삶으면 식감이 더욱 부드러워지기 때문에 샐러드용보단 국, 찌개 혹은 나물로 먹습니다. 느타리버섯에 풍부한 식물성 식이섬유는 혈액의 콜레스테롤 수치를 떨어뜨리는데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느타리버섯은 수분함유량이.. 2021. 9. 6.
제사의 종류와 추석차례상 차리는 방법 우리나라 제사의 종류는 크게 차례, 기제, 묘제로 나뉠 수 있습니다. 1. 차례 : 설날 차례- 설날 아침 조상에 대한 세배를 드리는 떡국차례 추석 차례 – 한 해 농사가 잘 된 것을 감사하며 햅쌀로 밥을 짓고, 송편을 빚어 올리는 차례 2. 기제: 고인이 돌아가신 기일에 지내는 제사 3. 묘제: 한식과 추석 대에 고인의 산소에 찾아가서 음식을 차려 놓고 지내는 제사 4. 이제: 부모의 생신에 지내는 제사 5. 세일사: 기일제를 지내지 않는 5대조 이상의 직계 조상에 대해 일 년에 한 번만 지내는 제사 6. 산신제 : 조상의 묘를 모신 산의 신에게 지내는 제사 추석의 정의 음력 팔월 보름을 일컫는 말로 가을의 한가운데 달이며 또한 팔월의 한가운데 날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연중 으뜸 명절입니.. 2021. 9. 5.
가을에 먹으면 제일 맛있는 제철음식 제철음식의 정의 우리나라는 산과 바다가 조화를 이루며 사계절이 뚜렷한 나라입니다. 요즘은 사계절에 상관없이 원하는 다양한 음식을 먹을 수 있지만 그 계절에 나는 채소, 과일, 해산물 등을 만든 음식을 제철 음식이라고 합니다. 제철음식을 먹으면 좋은 이유 인간의 몸은 자연의 한 부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자연에 따라 진화를 했으며, 또한 부족한 점은 자연에서 나오는 것을 통해 보충해 왔습니다. 그렇기에 인간이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계절의 변화에 맞게 지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우리나라는 뚜렷한 사계절의 변화에 맞게 자연으로부터 에너지를 얻었는데 이를 가장 잘 보여주는 것 중 하나로 동의보감에서도 각 계절에 어떻게 지내면 좋은지 계절별 섭생법이 있다고 합니다. 동의보감.. 2021. 9. 4.
추석기간동안 사회적거리두기와 명절이동 현행 수도권 4단계 , 비수도권 3단계의 사회적 거리 두기 방침이 10월 3일까지 연장된다고 합니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3일 정부 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사회적 거리두기 방침 1. 수도권 등 4단계 지역의 식당, 카페 영업시간을 오후 9시에서 10시로 연장됩니다. 2. 식당, 카페에서의 모임 인원 제한도 6명까지로 확대하나 낮에는 2인 이상, 저녁 6시 이후에는 4인 이상의 접종 완료자가 포함된 경우로 한정한다고 합니다. 3. 3단계 지역은 모든 다중이용시설에서 접종 완료자 4인을 포함해서 최대 8명까지 사적 모임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4. 결혼식장의 경우, 식사를 제공하지 않는다면, 참석인원을 99인까지 허용한다고 합니다. .. 2021. 9. 3.
반응형